[ 이 글은 니케 윈도우버전이 정식 출시되기 전 작성된 글입니다. 이 점을 참고하시어 읽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번 글에서는 승리의 여신: 니케를 PC로 하는 방법에 대해 적어봅니다.
개인적으로 기대했던 니케가 2022년 11월 4일에 글로벌출시 되었습니다.
모바일게임인 니케를 PC로 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저의 경우는 고스펙의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니케를 받기 위해 플레이스토어에 가면 다운로드조차 불가능하다는 안내가 나오는 것도 이 때문인데요.
그럼에도 핸드폰은 전화랑 인터넷만 잘되면 문제없다는 마인드이기 때문에, 전 지금껏 수리해가며 오래동안 사용해오고 있습니다.
이처럼 니케와 같은 최신 모바일게임은 고스펙의 스마트기기를 반드시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점은 접근성 면에서 단점이 아닐까 합니다. 그래서인지 니케 운영진 측에서도 PC버전을 개발중에 있다는 소식을 전해왔습니다. 희소식이 아닐까 합니다. 언제가 될지는 모르겠지만요.
여기서 좀 더 의문을 가져보면, 굳이 하이엔드급 스마트폰으로 니케를 즐길 필요가 있을까? 라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대답은 아니오. 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제가 볼 땐 PC로 즐겨도 충분하다는 생각이 들거든요. 굳이 핸드폰의 비좁은 세로화면과 배터리소모, 열발생을 견뎌가면서까지 핸드폰으로 즐길 필요는 없다는 생각입니다. 누워서 하기엔 좋겠지만요. 어찌되었든 승리의 여신: 니케를 PC로 플레이하는 법을 알아봅시다.
앱플레이어란 무엇이며 왜 설치해야 할까?
니케는 모바일게임인 만큼 PC로 구동하기 위해서는 '앱플레이어' 라는 프로그램을 별도로 PC에 설치해줘야 합니다.
혹시 걱정할 분들을 위해서 한마디 하자면, 크게 걱정할 부분은 없습니다.
앱플레이어는 무료로 사용가능하며, 용량도 가볍습니다. 그래서 설치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지 않습니다.
한가지 염려되는 부분이라면, PC성능이 꽤 낮다면 버벅임이 심하거나 실행이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원활히 플레이할 수 있다는 희망을 품고 시도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각자 판단하에 시도해봅시다.
어떤 앱플레이어를 선택해야 할까?
대표적으로 앱플레이어는 블루스택, 녹스, LD플레이어 등으로 이 외에도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결론부터 말하면 니케에는 LD플레이어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관계로, 저는 LD플레이어를 추천합니다.
그 전에 블루스택과 다른 앱플레이어들의 차이점에 대해 짚고 넘어갑니다.
블루스택은 제가 라스트오리진을 PC로 실행하기 위해 가장 처음에 접했던 앱플레이어입니다.
니케도 별도의 설정없이 라스트오리진의 인스턴스 설정으로 무리없이 플레이가 가능했습니다.(튕기는 업데이트 이전까지만요.)
블루스택은 미국산, 녹스와 LD플레이어는 중국산이라는 것, 그리고 LD는 채굴기 이슈가 있었기에 블루스택을 선택할 수 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LD플레이어 역시 버전업을 하면서 채굴버그를 바로잡았다고 합니다. 의도된 버그인지, 해킹인지 저희같은 라이트게이머로서는 판단하기 어렵지만, 일단 다른 선택지가 없는 걸로 보입니다.
대다수의 니케 PC게이머들이 LD플레이어를 사용하고 있으니, 믿고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저의 경우 끝까지 블루스택을 고집했지만, 어느날 니케 업데이트를 하던 와중에 계속 튕겨버리는 현상이 발생해버린 이후로는 저 역시 LD플레이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위 사진은 블루스택으로 니케 업데이트를 하다가 나왔던 팝업창과 비슷한 화면을 가져왔습니다. 제가 실제 스크린샷을 찍었던 것으로, 니케를 실행할 때마다 업데이트 도중 무한 튕김 현상이 반복되었고, 심지어 니케를 삭제하려고까지 했습니다.
그러다가 LD플레이어가 좋다는 여러 커뮤니티의 의견에 따라 저도 설치 후 따라해봤는데, 문제없이 지금까지 잘 플레이하고 있습니다. 앱플레이어는 어쩌면 게임을 타는 것 같습니다. 아니, 게임이 앱플레이어를 탄다는 말도 동시에 성립되겠네요.
현재 확실한 정보는 LD플레이어로 니케가 원활히 플레이 가능하다는 것입니다.
앱플레이어를 선택했으면, 그 다음은 어떻게 해야 할까?
제가 LD플레이어를 니케의 앱플레이어로 추천하였습니다. 그러면 뚝딱 니케를 설치하고 실행하면 되는게 아니라, 앱플레이어 설치 이후, Virtualization Technology 라는 과정을 가장 먼저 필수로 거쳐야합니다.
이것이 무엇이냐면, 앱플레이어가 PC의 성능을 그대로 끌어쓸 수 있도록 가상화를 통한 일종의 'PC성능 잠금해제' 를 해주는 과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과정을 거치지 않으면, 게임을 실행했을 때 굉장히 버벅임이 심해서 진행하기가 불가능할 정도이며, 제가 라스트오리진을 처음 블루스택으로 실행했을 때, 이 Virtualization Technology을 하지 않으면 아예 게임실행조차 되지 않았던 것을 기억합니다.
그래서 Virtualization Technology 라는건 어떻게 하는 건데?
Virtualization Technology은 LD플레이어 홈페이지에 상세하게 설명하고 있으므로 그 링크를 달아놓겠습니다.
아래 글을 참고하셔서 차근차근 따라해보세요. 단, 저는 2번 항목인 'VT 기능 지원 여부 확인 방법' 과정은 거치지 않았는데도 잘 되었다는 점 미리 알려드립니다. 저는 블루스택 홈페이지의 안내글을 보고 Virtualization Technology을 따라했던 터라,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없이 BIOS 설정만으로도 VT를 해냈습니다.
위 링크에도 자세히 나오지만, 먼저 알고 있으면 좋을 숙지사항으로는 본인의 CPU가 인텔인지 AMD인지 파악하고 그에 맞게 바이오스를 설정하는 것입니다.
위 설명을 요약하면, 인텔 CPU는 Virtualization Technology 라는 문장이 바이오스에 그대로 나와 찾기 쉬운 반면, AMD CPU의 경우 Virtualization Technology가 아니라 SVM Mode 라고 표기된다고 합니다.
Virtualization Technology은 본인의 메인보드 메이커를 알고 있다면 더 수월하다!
본인의 CPU 메이커를 확인하셨습니까? 그럼 이제 본인의 메인보드 메이커도 확인할 수 있으면 더 좋을텐데, 몰라도 위에 적어놓은 LD플레이어 VT설정하는 방법 링크글을 보면, 메인보드 바이오스 이미지만 봐도 본인의 메인보드가 어떤 보드인지 확인가능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저같은 경우, AMD CPU에 기가바이트 메인보드를 사용중이었는데, 바이오스 진입할 때는 Del키를 연타했으며, 정확히 설명된 글이 없어 이것 저것 누르다가 어떻게 대충 해냈던 걸로 기억합니다.
그러나 위에 제가 남겨둔 LD플레이어 VT설정하는 방법 링크글에서는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설정을 안내하고 있으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M.I.T > Advanced Frequency Settings > Advanced CPU Core Settings > SVM Mode
(이것은 AMD CPU + 기가바이트 메인보드에 대한 VT설정이니, 다른 메이커분들은 위에 남겨둔 링크를 참조하세요.)
맺으며.. (니케 블루스택 LD플레이어 차이)
이상으로 니케 PC로 하는 법을 알아봤습니다.
과거에 니케를 블루스택으로 실행했을 때 좋았던 점은, 1부터 5번까지 숫자단축키와 알파벳단축키가 있어서 숫자와 알파벳만으로 니케를 빠르게 변경할 수 있었던 점, 그리고 스킬을 단축키로 사용할 수 있었던 점이었습니다만, 가로화면으로 전환해보면서 블루스택의 단축키는 무용지물이 되고 말았습니다. 화면이 늘어나면서 단축키가 먹히지 않게 되었거든요.
반면 LD플레이어는 초반부터 단축키를 제공하지 않지만 기능은 갖추고 있습니다. 이것을 '가상키'라고 표현하더군요.
그 내용은 저도 공부후에 글을 쓸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아래에서 니케에 관한 더 많은 정보를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니케 가로모드 하는 방법(PC) 장단점 및 최적화
이번 글에서는 승리의 여신 니케 가로화면 모드로 플레이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니케는 스마트폰으로 플레이 할 때는 대체적으로 세로화면만 지원합니다.(가로화면이 가능한 특정
grandnature.tistory.com